생생 입시전략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입시전략을 쉽고 명확하게 들려준다.

글상세
제목 : 올해 고3 재학생의 무전공에 대한 인식은?
등록일 : 2024-08-22

무전공 제도에 관심 많고 지원 의향 높아

올해 대입 변화의 주요 키워드로 ‘무전공(전공자율선택제, 이하 무전공)’이 언급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직접 겪을 올해 고3 학생들은 무전공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지원 의사는 어떠할까? 진학닷컴 고3 회원을 대상으로 8월 2~3주차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이번 설문조사는 진학닷컴 고3 회원 1,807명(자연계열 49.4%, 인문계열 43.4%, 예체능 7.1%)이 참여했다. 설문 결과, 학생들의 77.4%(1,399명)가 ‘무전공을 들어본 적 있거나 무전공을 정확하게 알고 있다’로 응답하여 고3학생들도 무전공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전공(유형1, 유형2)지원 의사가 있는 학생들은 본인의 적성이나 전공을 고려하기도 하지만 ‘대입 합격 가능성’ 역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전공으로 지원할 의사와 그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과반수 이상인 64%의 학생이 ‘무전공으로 지원하겠다(유형1: 39.5%, 유형2: 24.5%)’로 응답했으며, 36%의 학생은 ‘지원하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특히, ‘무전공 유형1로 지원하겠다’는 학생이 유형2로 지원을 희망하는 학생보다 약 15%p 더 많았다. 그 이유로 ‘전공하고 싶은 계열과 학과가 명확하게 없는 경우(35.2%)’와 ‘모집정원이 많아서 합격 가능성이 높을 것 같아서(33.1%)’라고 응답했다. 이어서 ‘계열 구분없이 학과를 선택한다는 것이 더 좋아보여서(26.1%)’, ‘내가 가고 싶은 대학이 유형1로 학생을 선발하기 때문에(5.7%)’로 나타났다.

반면, ‘무전공 유형 2로 지원하겠다’라고 응답한 학생의 경우, ‘전공하고 싶은 계열은 명확하지만, 학과까지는 못 정해서(51.1%)’와 ‘본인이 지원할 학과 모집정원보다는 무전공 유형2 모집정원이 많아 합격가능성이 더 높을 것 같아서(39.4%)’, ‘내가 가고 싶은 대학이 유형2로 선발하니까(9.5%)’순으로 나타났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은 “올해 대입의 주요 변화로 꼽히는 ‘무전공 제도’에 대해서 고3 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다만 무전공 모집 인원만을 기준으로 두고 대입 합격가능성이 높다고 섣불리 판단하기 보다는 본인에게 적합한 대입 지원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무전공 제도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