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국공립대 통합 등 혁신제시 경북 4개대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 |
---|---|
등록일 : 2023-06-20 |
경북도·대학, 본지정 위한 실행계획 수립…"대학당 1천억 지방비 추가 투자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결과 발표하는 김우승 부위원장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김우승 글로컬대학위원회 부위원장이 20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앞서 교육부는 학령인구 감소와 급격한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해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할 지역 대학인 글로컬 대학을 약 30곳 뽑아 5년간 1천억원씩 지원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2023.6.20 hihong@yna.co.kr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국공립대 통합과 교육혁신, 로컬의 글로컬화 등 파격적 혁신안을 제시한 경북 4개 대학(2개대는 통합신청)이 정부의 글로컬 대학에 예비 지정됐다.
경북도는 20일 교육부 '글로컬 대학 30' 예비 지정 결과 안동대·경북도립대, 포항공대, 한동대가 뽑혔다고 밝혔다.
글로컬 대학 30은 담대한 혁신을 통해 세계 우수대학과 경쟁할 수 있는 지방대를 글로컬 대학으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대학 한 곳당 5년간 1천억원을 지원한다.
경북 4개 대학은 글로컬 대학으로 비전을 제시하고 국공립대 통합, 3무(無) 교육혁신, 로컬의 글로컬화 등 혁신안을 내놓았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국공립대 통합안을 들고나온 안동대·경북도립대 통합대학은 입학정원을 대폭 감축하고 인문학 중심의 공공형 대학으로 대전환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한국국학진흥원, 경북도 인재평생교육진흥원, 경북도 환경연수원,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등 교육·연구기관과 통합 운영으로 공공형 대학으로서 시너지를 창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인문학을 기반으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 인문 콘텐츠의 국제적 확산을 추진한다.
바이오·백신·헴프 산업과 연계해 국가전략 백신산업도 주도한다는 방침이다.
포항공대는 동해안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를 강화하고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로컬화를 선언했다.
또 학과 간, 지방자치단체·산업계·학교 간, 글로벌 리더 인재 양성 등 국가 간 경계를 허무는 '3무 교육혁신'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교수진,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 간의 상호협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과 인재를 기반으로 포항을 중심으로 미국 실리콘밸리에 버금가는 '글로벌 창업 퍼시픽 밸리'를 구축하고 지역 유니콘 기업을 육성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한동대는 로컬의 글로벌화를 비전으로 제시하며 교육혁신, 지역혁신, 글로벌 혁신 등을 3대 전략으로 내놓았다.
모든 경계를 허무는 교육혁신을 위해 100% 학생 맞춤형 전공 선택, 미국 미네르바대학·애리조나대학과 연계한 공동 학습 과정을 운영한다.
지역혁신을 위해서는 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스타트업 혁신파크 조성 및 글로벌 그린 리딩 기업과 연계한 울릉 그린 아일랜드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도는 예비 지정된 4개 대학과 함께 글로컬대학 공동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앞으로 3개월간 공공기관, 지역기업과 공동으로 본지정을 위한 최종 실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예비 지정 대학은 9월까지 혁신안을 구체화하는 실행계획서를 수립해 본지정 평가를 거쳐 10월 중 글로컬 대학으로 최종 지정된다.
경북의 예비 지정 대학은 전국에서 가장 많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글로컬 대학으로 최종 선정되면 기업, 지방정부, 대학의 협력을 기반으로 대학당 1천억원의 지방비를 추가 투자하겠다"며 "대한민국이 바라보고 세계에서 찾아오는 글로컬 대학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래픽] 2023년 글로컬대학 예비선정 결과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비수도권 대학들이 '생사'를 걸고 치열하게 경쟁한 '글로컬대학' 사업에 연세대 미래캠퍼스와 포항공대 등 15개 대학(공동신청 대학 포함 19곳)이 예비선정됐다.
예비선정된 대학은 ▲ 강원대·강릉원주대 ▲ 경상국립대 ▲ 부산대·부산교대 ▲ 순천대 ▲ 순천향대 ▲ 안동대·경북도립대 ▲ 연세대 미래캠퍼스(분교) ▲ 울산대 ▲ 인제대 ▲ 전남대 ▲ 전북대 ▲ 충북대·한국교통대 ▲ 포항공과대(포스텍) ▲ 한동대 ▲ 한림대 등 15곳이다. 공동신청한 대학들을 각각 따로 놓고 보면 19개교다.
yoon2@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haru@yna.co.kr 2023/06/20 14:49 송고